기초학력 책임지는 두 교육청, 현장에서 답을 찾다충남·충북교육청, 기초학력지원센터 운영 경험 공유… 지속 가능한 협력 약속
충청북도교육청 행복관에서 5월 26일,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충청남도교육청과 충청북도교육청의 실무 협의가 열렸다. 이번 만남은 충청남도교육청교육과정평가정보원(원장 오둥규)의 제안으로 마련됐으며, 양 교육청은 기초학력지원센터의 운영 방식과 성과를 공유하고 지속 가능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2022년 시행된 기초학력보장법은 모든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적 책무를 명문화한 법으로, 시도교육감이 기초학력지원센터 설치·운영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센터는 학습 부진 학생의 진단과 지원, 교원 연수, 학습 자료 개발, 학부모와 지역사회 연계 등 폭넓은 역할을 수행한다. 충청남도교육청은 해당 센터 운영을 공주교육대학교에 위탁해 전문성을 확보하고, 대학의 연구 역량과 연계한 기초학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공주교대는 진단 도구 개발, 맞춤형 지원 자료 제공, 교원 대상 전문 연수 운영 등에서 협력하며 학교 현장의 실질적인 역량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반면, 충청북도교육청은 센터를 교육청 직속 체계로 직접 운영하고 있다. 전담 장학사와 실무 인력을 중심으로 각 교육지원청 및 단위학교와 긴밀히 협력하며, 지역 특성과 현장 수요를 반영한 탄력적 대응을 강점으로 삼고 있다. 이날 협의에서는 두 교육청이 걸어온 운영 경로를 공유하고, 향후 협력 과제를 도출하는 논의가 활발히 이어졌다. 특히 상호 운영 방식의 차이를 넘어서, 현장 중심의 실질적 지원과 정책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공동의 실천 과제를 도출하는 데 집중했다. 충청남도교육청교육과정평가정보원 오동규 원장은 “기초학력 보장은 더 이상 일부 학생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교육 전체가 감당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책무”라며 “오늘의 논의가 두 지역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기초학력 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의미 있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협의는 향후 양 교육청 간 정기적인 정보 교류, 공동 연수 운영, 진단 및 교수자료 공동 개발 등의 협력으로 이어지며, 기초학력 보장의 실질적 실행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충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