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충남도의회, 사후 인사검증제 도입 주장

장기승 의원, 관피아· 정피아 등 적폐해소 위해 필요

이명우 기자 | 기사입력 2014/07/19 [10:26]

충남도의회, 사후 인사검증제 도입 주장

장기승 의원, 관피아· 정피아 등 적폐해소 위해 필요

이명우 기자 | 입력 : 2014/07/19 [10:26]
▲     © 편집부
충남도 인사와 관련 사후 인사 검증을 실시하는 가칭 ‘인사검증위원회’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도의회 장기승 의원(새누리, 아산3)은 15일 제272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인사와 관련 사전 청문회를 실시하는 국회와는 달리 인사 후 검증을 하는 시스템을 충남도의회에 설치할 것을 주장했다.

장의원은 “세월호 참사에서 대한민국의 총체적 부실을 똑똑히 봤다”며 “이러한 부실과 적폐가 충남도에도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관피아와 정피아가 대표적인 적폐”라고 밝혔다.

그는 “도지사와 교육감이 공기업의 사장, 출연기관장, 산하단체 임직원 등의 인사를 바로 잡을 때가 됐다” 며 “임명방법이 지연, 학연, 혈연, 정치적 인연 등 정실이 겹겹이 쌓여 앞으로 의회에서 정피아 관피아 인사에 대해 적절히 따져 볼 것” 이라고 피력했다.

장 의원은 “이미 9대 의회에서도 충남도의회 기본조례 50조에서 산하기관장에 대한 검증 을 입법화해 시행중에 있다”며 “기본조례를 더욱 보완해 도지사와 교육감이 임명권을 행사하는 모든 단체의 임직원에 대해 인사검증을 강화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장 의원은 “이 위원회의 도입 목적은 공공기관장과 출연기관장 등 임직원 인사에 도지사와 교육감의 책임성을 더욱 강화 시키자는 것”이라며“정실에 빠질 수 있는 인사를 사전에 차단해 도민들이 입게 될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사전 인사검증제인 인사청문회제가 가진 장점과 단점이 있듯이 인사검증위원회도 나름대로 순기능이 있겠지만 인사에 대한 혼란과 인물에 대해선 청문회가 가진 역기능이 부각될 우려가 크다” 며“제도 도입은 신중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