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작업치료는 재활의 꽃

천안다나힐병원장/다나메디컬그룹 대표 김용준

편집부 | 기사입력 2024/05/24 [09:17]

작업치료는 재활의 꽃

천안다나힐병원장/다나메디컬그룹 대표 김용준

편집부 | 입력 : 2024/05/24 [09:17]

 

 작업치료는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가졌거나 노화 및 기타 여러 이유로 인하여 사회 적응력이 감소된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치료적 활동, 즉 작업을 통해 대상자의 기능을 증진시켜 일상생활을 최대한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게 하는 치료입니다. 소아, 성인, 노인 등 모든 사람들이 대상이 되는 치료이며 능동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여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치료, 교육하는 보건의료의 전문 분야이지요.

 

뇌졸중이나 치매, 암과 같은 만성질환, 산업재해 및 고령인구 중가로 인한 재활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발달장애아동에 대한 국가지원 또한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작업치료는 선천성 장애,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모두 대상이 되며 어떠한 이유로든 기능이 저하된 사람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작업치료는 특히 혼자서 독립적인 생활을 수행하기 어렵거나, 사회생활 참여에 어려움이 있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는 사람에게 제공됩니다.

 

작업치료의 종류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우선 일상생활 및 직업 활동, 취미와 여가, 교육 등의 활동을 지지해주기 위해 다양한 내용의 치료를 시행하므로 기본적으로 일상생활활동 훈련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식사하기, 옷 입기, 목욕하기, 이동하기 등의 일상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신체기능 향상 훈련으로 근력, 관절가동범위, 감각, 기민성 등의 향상 훈련도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과적이며 인지 및 지각훈련에서는 저하된 인지 및 지각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컴퓨터 인지치료 및 다양한 활동훈련이 포함됩니다. 특히 뇌병변 환자의 경우 인지기능의 회복이 신체기능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지기능이 좋은 환자일수록 마비의 회복이 더 많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각 재활센터에서는 컴퓨터 및 전문 장비를 사용하여 뇌기능을 회복시키는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것이 활동 및 훈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 외에도 보조기 및 일상 활동이나 직업에 필요한 보조도구를 제작하는 훈련이 있으며 주거환경 개선, 운전재활 등의 작업치료가 존재합니다.

 

먹기와 관련된 문제를 보이는 환자의 경우 연하기능을 평가하고 적절한 연하치료를 제공하는데, 입과 인후두의 마비로 인하여 음식물을 삼키는 게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이를 운동요법. 자극요법과 최신의 연하장애 전기자극치료 등을 통해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 모든 치료와 훈련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환자의 가족 및 보호자에게도 상담과 교육을 꾸준히 실시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들 또한 침여자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환자와 함께 사회 복귀를 이뤄나가는 것이지요.

 

또한 환자와 치료사의 유대감이 가장 중요하며 치료비를 믿고 의지하며 치료를 즐기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업치료는 폭넓은 영역에서 다양한 의료시설과 기관에서 이루어지므로 분야는 매우 넓습니다.

 

또 작업치료는 대상자의 능력 및 관심분야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치료범위도 위에 적용된 한 외에 다양합니다. 작업치료는 환자가 자신에게 의미 있고 생산적인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건강을 증진할 뿐 아니라 사회에 참여하여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중재해주는 "재활의 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부동 천안다나힐병원 : 통합암센터 / 내과·내시경센터 건강검진센터

재활통증센터 / 한방과 : 041-562-7000

건강검진문의 : 041-562-7050   통합암센터 문의 : 010-5797-8275

다나힐재활요양병원 : 뇌경색, 파킨슨, 수술 후 재활, 치매, 요양

입원 문의 : 041-590-7777 010-8809-5544

다나포레스트요양원 : 어르신 섬김으로, 호텔형 로비, 찜질방, 족욕실, 물리치료 가능

자매병원과의 의료협진체계 구축

입소 문의 : 041-583-2341 010-6626-2889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
광고
광고